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내장 증상 초기 VS 말기 및 치료 방법

질병 상식

by 건강다반사 2025. 5. 20. 08:26

본문

반응형

백내장은 안구 내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야가 뿌옇고 흐리게 보이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실명까지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백내장 증상은 무엇이고 이에 대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정체 혼탁

백내장 증상

수정체는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통과시켜 망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이 수정체가 점차 혼탁하게 변하는데요. 매우 흔하게 발병하는 질환이며, 60대에서는 두 명 중에 한 명꼴로, 80대 이상에서는 거의 대부분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습니다.

 

반응형

 

물론 백내장 증상이 노화에 의해서만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이보다 더 어린 나이라고 하더라도 당뇨병, 안구 염증, 눈의 외상이나 과거의 수술 이력, 아토피 피부염, 스테로이드 약물 남용 등 여러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령에 상관없이 의심스러운 증세가 있다면 바로 안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1. 시야가 흐리고 뿌옇게 보인다.
  2. 글씨가 이전보다 잘 보인다.
  3. 밝은 곳보다 어두운 환경에서 시력이 더 좋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4. 빛이 번져 보인다.
  5. 야간에 빛을 보면 눈이 부시다.
  6. 사물이 두 개 이상으로 겹쳐 보인다.
  7. 색감을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졌다.

위의 내용은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을 요약한 것입니다. 가장 대표적이고 공통적인 현상은 시력이 감소하고 물체가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위 항목 중에 '글씨가 이전보다 잘 보인다'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마치 시력이 회복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내장 증상에 의해 작은 글씨가 잘 보이게 되는 것은 수정체 혼탁으로 빛의 굴절률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오히려 병이 더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력은 아무런 이유 없이 저절로 좋아지지 않으므로 갑자기 글씨가 잘 보이기 시작했다면 눈에 이상이 있음을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백내장 증상

백내장 치료 방법

병원 검사결과 백내장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우선은 약물치료를 먼저 받게 됩니다. 약을 복용하기도 하고, 안약 형태로 눈에 직접 넣기도 합니다. 물론 약물요법이 병을 낫게 하는 목적은 아닙니다. 현재로서는 병을 치유하거나 진행을 완전히 멈추게 하는 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백내장 증상에 있어 치료의 기본 원칙은 수술을 하는 것입니다. 다만 수술을 하게 되면 병은 치료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눈이 예전의 상태보다는 못해지기 때문에 굳이 일찍부터 수술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약물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 속도를 최대한 늦추는 것입니다.

 

 

약물요법 이후에도 병이 계속 진행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가 되었다면 이때가 적절한 수술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기존의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게 됩니다. 수술적 방법은 너무 일찍 할 필요가 없고, 그렇다고, 말기까지 기다릴 경우 실명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을 받게 되면 백내장 증상은 완전 치유할 수 있고 재발이 되지도 않습니다. 다만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것이기 때문에 시력 기능은 예전보다는 떨어진 상태입니다. 가령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봤을 때 초점이 잘 전환되지 않아 별도의 안경을 착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 증상

 

몇몇 환자에게서는 부작용도 나타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안구 건조증입니다. 그래서 예전보다 눈의 피로감이 빨리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안구 내에 세균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안내염도 발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후 합병증 유무를 꾸준히 관찰할 필요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백내장 증상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말기에 이르면 실명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질환이기 때문에 고령일수록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꼭 받아줄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만 40세 이상이라면 최소 1년에 한 번은 꼭 정기적인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눈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 6가지 이유

눈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 눈이 침침하고 뻑뻑하거나 이로 인해서 앞이 뿌옇게 보인다고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단순한 피로누적 때문일 수도 있지만 휴식을 취해도 증세가 사라지지

nhspace.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